본문 바로가기
영화정보

하얼빈, 안중근 의사의 고뇌를 엿보다

by 인포보따리 2024. 12. 25.

- 스토리(스포주의!)

 1908년 합경북도 신아산에서 안중근이 이끄는 독립군들은 일본군의 거점을 습격하여 전투에서 승리를 거둡니다. 이때, 안중근은 주변 동료들의 만류에도 만국공법의 이유로 적장인 모리 다쓰오와 포로를 풀어줍니다. 이 결정으로 같이 전쟁했었던 '이창섭'이 이끄는 독립군들은 등을 돌립니다. 그리고 휴식을 취하고 있는 안중근의 독립군이 모리 다쓰오의 습격에 몰살당합니다. 다행히 안중근의 측근인 '우덕순'과 '김상현'은 습격에서 잘 도망쳐 독립군의 거처에 오게 됩니다. 습격을 뒤늦게 알게 된 안중근은 자책하며 길을 헤매다 독립군 거처에 늦게 도착합니다. 먼저 와 있던 이창섭은 동료를 죽게 만드는 결정을 한 안중근을 처형하자고 하지만, 독립군의 리더격인 '최재형'의 만류로 앞으로의 거사를 위해 넘어가자고 합니다. 그 후, 안중근, 우덕순, 김상현은 거사를 위해 기차를 타게 되는데 기차 안에서 일본인인 척하는 조선인인 것을 들키게 되고 각자 도망가느라 흩어지게 됩니다. 흩어진 독립군들은 힘겹게 블라디보스토크에 모이게 되고 조선총독부의 총통인 이토 히로부미가 하얼빈에 온다는 정보를 알게 됩니다. 하얼빈에서 이토히로 부미 저격 거사를 도모하는 독립군들 확실한 거사를 위한 폭약을 구하고자 '공부인'을 만나게 됩니다. 공부인의 도움으로 기차 한량을 터트릴 수 있는 폭약을 구하지만, 모리 다쓰오의 습격으로 폭약을 모두 날리게 됩니다. 이 습격으로 이창섭은 죽게 되고 독립군 안에 밀정이 있다는 것을 확신합니다. 이것을 역 이용하는 안중근은 거사의 장소를 하얼빈이 아닌 다른 장소에서 치른다는 거짓 정보를 흘려 밀정이 누구인지도 알아내고 모리 다쓰오도 다른 장소로 유인합니다. 이러한 작전 덕분에 방해하는 사람 없이 안중근은 하얼빈에서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하는 데 성공하고 대한독 만세라는 러시아어인 '꼬레아 우라'를 외치며 경찰에 끌려갑니다. 그리고 안중근의 결정으로 밀정은 죽이지 않는데, 시간이 지난 후 모리 다쓰오가 밀정에게 새로운 미션을 주려고 만났을 때, 밀정이 모리 다쓰오를 죽이게 됩니다.

- 감상평

 영화가 전체적으로 중압감을 주는 무거운 분위기로 흘러갑니다. 이런 분위기 덕분에 그때 당시 대한 독립을 위해 고생하고 몸 바쳐 활동하는 독립군들의 결연한 의지나 분위기를 조금이나마 느낄 수 있었습니다. 영화 초반에는 다소 지루할 수 있었지만, 만주와 몽골 등지에서의 자연과 하늘의 영상미를 보는 재미와 그 영상들이 안중근의 고뇌를 표현하는 듯한 느낌이 있었고 후반에는 밀정이 누구인지를 추측하면서 영화에 더 빠져들 수 있었습니다. 전쟁 중 만국공법에 따라 적의 수장인 모리 다쓰오를 풀어주는 안중근 의사의 결정과 그 결정으로 전우들이 죽게 되는 결과를 보고 정의가 무엇인가에 대해 생각해 보게 되었습니다. 전쟁 중이라도 법을 따라야 하는 게 맞긴 하지만, 그로 인해 제 전우가 죽을 수도 있다면 법을 지키는 것이 정의가 되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영화를 관람하기 전 김훈 작가의 소설책 '하얼빈'을 읽었었습니다. 영화가 개봉한다고 했을 때, 소설책을 기반으로 한 영화이지 않겠냐는 추측을 했었지만, 영화는 소설책과는 완전히 다른 스토리였습니다. 우리나라 역사에 대단한 업적을 남긴 안중근 의사의 신아산 전투 이후부터 하얼빈에서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하기 전의 행적에 대한 기록이나 자료가 명확하게 나오지 않아 여러 작가의 상상력을 자극해서 많은 창작물이 나올 수 있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에 내레이션으로 나오는 '불을 밝혀야 한다. 사람을 모아야 한다. 기어이 앞에 나가고, 뒤에 나가고, 급히 나가고, 더디 나가고, 미리 준비하고 뒷일을 준비하면 모든 일을 이룰 것이다.'라는 대사는 영화의 배경인 일제강점기뿐만 아니라 지금도 관통하는 대사인 것 같아 영화의 여운을 길게 남기게 했습니다. 

- 영화의 뒷이야기

 영화의 주인공이자 우리나라의 위인인 '안중근 의사'역을 연기한 배우 현빈은 중압감과 부담감으로 인해 캐스팅 요청이 왔을 당시 3번이나 거절을 했다고 합니다. 하지만, 우민호 감독의 끈질긴 요청으로 안중의사 역을 연기했다고 합니다. 우민호 감독은 100번이라도 찾아 가서 부탁을 했을 것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우민호 감독은 가상의 인물이 아닌 안중근 의사의 이야기인데 단순 오락영화로 만들 수는 없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고 이 생각에 제작사 대표 김원국 대표도 동의하여 흥행 부분에서 걱정이 되기는 하지만 최대한 오락적인 요소는 배제하고 촬영했다고 합니다. 요즘 영화를 촬영하고 제작하다 보면 CG를 많이 사용하며 배우들의 고생을 줄이기도 하지만, 하얼빈은 몽골, 라트비아, 대한민국에 이르기까지 험난한 여정과 실제 영하 40도에서 연기를 하는 등 생동감과 현실감을 담기 위해 많은 노력을 했다고 합니다. 이러한 고생 덕분에 배우들은 우리나라 독립군들의 힘듦을 직접 느껴 연기를 하는데 감정이 더 우러나올 수 있었다고 합니다.

 

반응형